1. Claus Westermann,
Genesis: A Practical Commentary, Text and Interpretation (Grand Rapids, MI: Eerdmans, 1987), 44쪽; Blenkinsopp,
‘P and J in Genesis 1:1-11:26: An Alternative Hypothesis,’ Fortunate the Eyes that See: Essays in Honor of David Noel Freedman in Celebration of His Seventieth Birthday, eds. Astrid B. Beck et. al. (Grand Rapids, MI: Eerdmans, 1995), 9쪽; Laurence A. Turner,
Genesis, A New Biblical Commentary (Sheffield, UK: Sheffield Academic Press, 2000), 44쪽.
2.
창 6:13,
‘케츠 콜-바사르 바’(קֵץ כָּל־בָּשָׂר בָּא)
‘끝이, 모든 육체의, 왔다.’ 3. Arthur Walkington Pink,
Gleanings in Genesis (New York, NY: Our Hope, 1922), 103-109쪽. 여기 제시된 해석 속에는 풍유적 해석도 들어 있다. 풍유적 해석(allegorical)은 역사성이 없고 해석자의 지나친 주관성이 개입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에 큰 주의를 해야 한다.
4.
창 7:1의
‘방주로 들어가라’는 말은
‘방주로 들어오라’로 번역될 수 있다. 본 절에 최초로 사용된 히브리어
‘보’(בּוֹא)는
‘가다’와
‘오다’의 이중 의미를 갖고 있다.
5.
요 3:3의
‘거듭나다’로 번역된 그리스어
‘아노덴’(ἄνωθεν)은
‘위로부터’의 뜻을 갖고 있다.
6.
창 6:18; 9:9, 11-18 (69.2)